<한산: 용의 출현>을 봤다. <한산>에서 출현한 용은 개량형 거북선인지, 이순신인지 좀 애매했다. 당연히 이순신이겠지만, 거북선에 초점이 많이 할애된 것으로 보이기도 했다.
이순신(박해일)이 학익진을 그리고 있다. 꿈을 꾸고 그것을 바탕으로 바다위에 성을 만들고자 한다. 조선 해군의 대포 정확성은 확보된다. 영화에서는 100보 앞까지 인내하며 기다리는 이순신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보고 나서 할 말이 별로 없다. 처음부터 끝까지 한산대첩에 맞춰져 있다. 다른 요소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시종 장엄한 배경음과 비장한 장면들로 이어진다. 잠시도 다른 요소가 끼어들지 못한다. 감독이 <명량> 감독이라 그런지, 각각의 진영에 간첩이 활동하지만, 별다른 우여곡절 없이 각각 필요한 정보를 얻어 자기 진영에 전달한다. (물론 여성 간첩은 붙잡혀 혀를 깨물지만 – 그리고 <명량>에서 말 못하는 여성으로 등장한 인물의 과거형이라고 하지만, 스토리 상 우여곡절은 거의 없다.)
왜장 와키자카(변요한)가 거북선의 용머리 이빨을 보고 있다. 한산대첩 이전에 있었던 사천해전에서 일본군의 배를 파괴한 거북선의 용머리. 구형 거북선의 약점이기도 했던 증거였다. 와키자카는 전쟁 경험이 많고, 인상적인 승리도 많이 거뒀다. 노련한 지장이다. 극 중에서 그의 진지함과 신중함이 잘 드러난다. 그래도 한산대첩에서 '진다'는 것은 이미 결정된 사실이니 별다른 긴장감은 없다.
인상적인 장면은 개량형 거북선의 등장이다. 예정에 없이 갑자기 등장한 거북선, 이전 거북선의 단점을 보완하고 사방의 적선을 사방의 포로 한방에 궤멸시킨다. 정말 그랬다면 엄청난 선박(반잠수함?)이었을 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씨지인지 진짜인지 알기 어려운 선박 파괴장면이 많이 나온다. 사실감이 매우 높다. 해전을 하고 있는 모습은 의심할 수 없다. 대부분 씨지라고 하니, 다소 놀랐다.
또한 이 전쟁의 본질이 뭔지를 묻는 왜군 포로의 질문에 대한 대답에서 ‘의와 불의의 대결’이라고 하는 이순신. 당연히 조선은 ‘의’, 일본은 ‘불의’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이 이 전쟁의 본질이라고 한다. 여기에서 ‘의’와 ‘불의’를 단순히 방어와 침략으로 이해해야 할지, 도덕적으로 이해해야 할지 잠시 머뭇거렸다. 민족주의나 국가주의가 물론 기여하는 바도 있지만, 폐해도 있다고 생각하기에 그랬던 것 같다.
학익진의 모습니다. 바다위에 성을 구현하는 모습이기도 하다. 순식간에 펼쳐지고 순식간에 해전을 마무리한다. 그걸로 끝났으면 좀 허탈했을텐데, 신형 거북선이 마무리한다. 다행이라는 생각을 했다.
결론적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장엄함, 비장함으로 이어진 영화였다. 그래서 재미가 없어야 하는데 그렇지 않다. 나름 긴장감 있게 극이 진행된다. 분명 지루한 선전영화는 아니다. 그럼에도 많은 영화적 요소를 희생해서 영웅적 인물의 영웅적 업적을 그리고 있다는 생각도 살짝 드는 영화였다. 한산대첩의 결론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안다. 그 과정에서 어려운 상황을 풀어가는 ‘차분한’ 이순신의 모습이 군더더기 없이 표현된 영화였다. 무미건조한 이순신의 모습은 의외로 매력적이라고 말하고 싶다.
영화 <모노노케 히메> 이야기 (0) | 2022.08.16 |
---|---|
영화 <중경삼림> 이야기 (0) | 2022.08.12 |
영화 <헤어질 결심> 이야기 (0) | 2022.08.01 |
영화 <외계+인> 이야기 (0) | 2022.07.22 |
영화 <토르: 러브 앤 썬더> 이야기 (0) | 2022.07.09 |
댓글 영역